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대한민국임시정부 성립 축하문·선언서’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2024년 9월 13일
123371

숭실대학교(총장 장범식) 한국기독교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성립 축하문’과 ‘선언서’가 12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고시됐다. 해당 문서는 1919년 10월 31일 대한민족대표 30인이 발행한 활판 인쇄 전단으로, 3.1운동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당시 독립운동의 전개 양상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대한민국임시정부 성립 축하문’ 사진(사진=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 ‘대한민국임시정부 성립 축하문’의 의미와 내용

‘대한민국임시정부 성립 축하문’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출범을 기념하고 알리는 내용을 담고 있다. 축하문에서는 이승만을 대통령, 이동휘를 국무총리로 선출해 통일 내각이 성립됐음을 알리고, 2천만 국민이 일본의 노예가 아닌 자유민이 되었음을 천명한다.

축하문에는 “10년의 노예생활을 벗어나 오늘에 다시 독립대한의 국민이 되었도다”라는 구절로 자유와 독립에 대한 강한 의지가 표현돼 있고, “삼천리 대한강산에 태극기를 날리고 이천만 민중의 함성을 합하여 만세를 부르리라”는 문구를 통해 국민의 환희와 독립에 대한 결의가 나타나 있다. “신성한 국토가 아직 적의 점령 하에 있으니 이천만 자유민아! 일어나 자유의 전쟁을 벌일지어다”라는 문장은 독립을 위한 지속적인 투쟁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문서의 말미에는 독립운동의 핵심 인물이자 독립운동의 정신을 상징하는 박은식, 김구, 박세충, 안정근 등 30인의 대한민족대표 명단과 ‘축하가’가 포함됐다.

 

■ ‘선언서’의 배경과 내용

‘선언서’는 같은 날인 1919년 10월 31일, 중국 상해에서 박은식 등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지지하는 독립운동자 30인에 의해 선포된 독립선언서이다. 3·1운동 이후의 독립운동 방향과 방법을 명확히 하고자 작성된 ‘선언서’는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민족의 일치단결을 호소하는 내용으로 구성돼 있다. 또한, 일제 통치의 잔학성을 고발하고 3.1운동 이후 통치 방식을 변화시키려는 일제의 시도를 반박하며, 우리 민족의 요구는 완전한 절대 독립임을 선언하고 있다.

국한문 혼용체로 작성된 선언서는 내용과 형식이 3.1독립선언서와 유사하며, 선언문과 공약 3장으로 구성돼 있다. 공약 3장에는 질서 있게 비폭력적으로 행동할 것, 부득이 자위행동을 하더라도 부녀, 어린이, 노약자, 병자는 절대 해치지 말 것, 전국민이 독립 요구를 강하게 표할 것 등의 내용이 포함돼 있다.

선언서에 서명한 민족대표는 박은식, 박환, 박귀충, 안정근, 안종술, 조선홍, 오능조, 허완, 최정식, 최지화, 도인권, 정운시, 연병우, 신태리, 한우삼, 고일청, 이일로, 이낙순, 이병덕, 이종오, 이화숙, 이근영, 명제세, 김구, 김의선, 김경하, 김찬성, 김가준, 김기창, 김철 등 대한민족대표 30명이다. 또한, 작성일자를 ‘대한민국 원년 10월 31일’로 표기해 일제의 압제에서 벗어난 독립된 대한민국의 출발을 알렸다.

<‘선언서’ 사진(사진=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 ‘대한민국임시정부 성립 축하문·선언서’의 역사적 중요성과 보존 계획

그동안 문헌을 통해서만 존재가 알려졌던 ‘대한민국임시정부 성립 축하문’과 ‘선언서’는 1967년 김양선(1907~1970) 교수가 숭실대학교에 기증하면서 유일한 실물 전단 형식의 문건으로 세상에 드러났다. 이번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은 해당 유물의 역사적 중요성을 알리고 그 가치를 보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은 유물의 보존과 관리를 위해 최선을 다할 예정이며, 국민들이 독립운동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홍보팀(pr@ss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