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위상원 박사(주저자), 이윤상 교수(교신저자), 대학원생 이채연, 한재호, 서지우, 최성훈 학생(공동저자)>
물리학과 위상원 박사와 이윤상 교수 연구팀이 장기지속발광 현상을 활용한 다채널 광학 기반 인공 시냅스를 구현하고, 연구 성과를 SCI급 국제저명학술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2025년 35권 6호)에 2월 5일자로 발표했다.(논문 제목: Multi-Color Synaptic Luminescence in RE-Doped Ca2SnO4 (RE = Sm3+, Er3+, and La3+))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는 물성 및 다학제 연구 분야에서 상위 5% 이내에 속하는 학술지로, 2023년 JCR 기준 Impact Factor 18.5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이번 연구는 본교 연구진 단독으로 세계적인 성과를 거뒀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
최근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뉴로모픽 소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생물학적 시냅스의 동작을 전자소자에서 구현해 신경망과 유사한 정보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인공 시냅스 개발이 핵심 연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본교 연구팀은 산화물 발광물질을 활용해 다채널 광학 기반 인공 시냅스를 구현하고, 저장소 컴퓨팅을 통한 시계열 데이터 처리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소재의 가능성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광신호를 매개로 한 새로운 뉴로모픽 소자 개발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향후 차세대 인공지능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교육부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기초과학융합연구소, 연구책임자 이윤상 교수) 및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사업(연구책임자 위상원 박사)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논문: S. Wi, C. Lee, J. Han, J. Seo, S. Choi, Y. Lee, “Multi-Color Synaptic Luminescence in RE-Doped Ca2SnO4 (RE = Sm3+, Er3+, and La3+)”,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025, 35, 2414860.
*논문 링크: https://doi.org/10.1002/adfm.202414860
홍보팀(pr@ss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