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실대 고병간 前 학장, 광복절 독립유공자로 포상

2018년 8월 14일
918

                                               * 담 당: 한승희 대외협력실 홍보팀 팀원  

숭실대 고병간 前 학장, 광복절 독립유공자로 포상
– 독립운동의 공적을 인정받아 애족장 수훈(受勳)

 숭실대학교(총장 황준성) 한국기독교박물관(관장 황민호)은 서울 숭실대학 제3대 학장(총장, 1964.11~1966.12)을 역임한 고병간 박사가 2018년 광복절 독립유공자 정부 포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고병간 박사는 선천의 신성학교에 재학 중이던 1919년 2월 27일 3.1만세운동에 사용할 독립선언서와 태극기를 제작하였고 3월 1일 선천읍에서 태극기를 앞세우고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독립선언서를 배포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을 받음으로써 정부로부터 훈장(애족장)을 받게 되었다.

 한국기독교박물관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숭실 출신 독립운동가의 활동 자료 및 공적을 정리하여 국가보훈처에 독립유공자 포상 신청을 하였고 2018년도 광복절 독립유공자 정부 포상자 명단에 서울 숭실대학 제3대 학장을 역임한 고병간 박사가 포함되었다. 포상은 오는 8월 15일 광복절 기념행사에서 진행된다.

 한편, 현재까지 한국기독교박물관에서 파악한 숭실 출신 독립유공 포상자는 총 80명에 달한다. 한국기독교박물관은 지난해 개교 120주년을 맞아 숭실 출신으로 독립운동에 현저한 공로가 있는 독립운동가를 발굴하는 사업을 진행하여 김태술(애족장), 김양선(건국포장), 김형두(대통령표창) 등이 독립유공자 포상을 받았다.

 숭실대학교는 1897년 선교사 윌리엄 베어드 박사가 평양에 설립한 ‘숭실학당’이 모태가 되었고, 1906년 한국 최초로 4년제 대학교육을 시작하여 한국고등교육 역사의 지평을 열었다. 1938년 국내 대학으로는 유일하게 신사참배 강요에 맞서 자진 폐교를 단행함으로써 민족적 자존심과 신앙적 절개를 지켰다. 1954년 서울에서 재건해 올해 10월 122주년을 맞이하는 숭실대학교는 기독교 민족사학으로서 위상을 더욱 굳건히 하며 통일시대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는 통일선도대학으로 앞장서 나가자는 계획이다.

<붙임1 고병간(高炳幹) 박사 약력>

 생몰 : 1899. 12 24?1966. 12. 11

 본적 : 평안북도 의주군 췌면 마체동 7-3(平安北道 義州郡 膵面 麻體洞 7-3)

 1919년 3월 평북 선천 신성학교 4학년 재학 중 3·1운동에 참여하였다. 고병간은 1919년 2월 27일 신성학교 교사 김지웅(金志雄)으로부터 신성학교 출신 일본 동경 유학생들의 독립선언서와 매일신보(每日申報)에 기재된 북경(北京) 영자신문의 번역문을 번역하여 등사하고 다음날 만세운동에 이를 배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이에 그는 동료 3명과 함께 독립선언서와 태극기 약 500매와 다른 문서 100매를 등사하였다. 3월 1일 그는 신성학교 교회에서 열린 교사 홍성익(洪盛益)의 독립 연설을 듣고 학생들과 함께 선천군 선천읍 본정(本町)으로 진출하여 교사 김지웅의 조선독립에 관한 연설을 들었다. 그리고 태극기를 앞세우고 “조선독립만세”를 고창하고 독립선언서를 배포하면서 군중 500∼600명과 함께 행진하다 체포되었다. 7월 12일 평양복심법원에서 출판법(出版法)·보안법위반(保安法違反)으로 징역 2년을 받았다. 평양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고 1920년 7월 12일 출옥하였다.

 출옥 이후 개신교 관련 단체에서 활동하였다. 1923년 서울 남대문밖 교회의 면려청년회 지육부장, 1928년 함흥성경학원 강사, 1929년부터 1933년까지 함흥기독청년회 종교부장 이사 등으로 활동하였다. 1940년 2월에는 일본 쿄토[京都]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해방 이후 고병간은 공직에 진출하였다. 1945년 대구의학전문학교 교장을 시작으로 1948년과 1950년 경상북도선거위원, 1952년 문교부 차관, 1959년 경북대학교 총장, 1960년 전북대학교·연세대학교 총장 등을 역임하였고, 1964년 11월부터 1966년 12월까지 숭실대학 학장으로 재직하였다. 1966년 YMCA 총무와 재건국민운동본부 중앙위원 등으로 활동하다가 그해 12월 뇌일혈로 사망하였다.

<붙임2 숭실 출신 독립유공자 포상자 명단>

대한민국장

대통령장

독립장

애국장

애족장

건국포장

대통령표창

조만식(曺晩植)

김익상(金益相)

편강렬(片康烈)

김강(金剛)

김예진(金禮鎭)

김원벽(金元璧)

김정련(金正連)

모의리(牟義理)

백기환(白基煥)

선우혁(鮮于赫)

손정도(孫貞道)

안세환(安世桓)

오운흥(吳雲興)

윤동주(尹東柱)

윤산온(尹山溫)

이승길(李承吉)

임이걸(林利杰)

장일환(張日煥)

정찬조(鄭燦朝)

조병옥(趙炳玉)

차이석(車利錫)

최수봉(崔壽鳳)

홍성익(洪成益)

강봉우(姜鳳羽)

곽임대(郭臨大)

김희백(金熙伯)

박정건(朴貞鍵)

박휘병(朴輝秉)

배민수(裵敏洙)

안병균(安秉均)

이관구(李觀求)

이상조(李尙祚)

장신국(張信國)

조봉호(趙鳳鎬)

조영신(趙永信)

최광옥(崔光玉)

한도원(韓道源)

고병간(高炳幹) 길진형(吉鎭亨)

김경하(金京河) 김대엽(金大燁)

김두찬(金斗燦) 김두혁(金斗爀)

김두화(金斗和) 김무생(金武生)

김선두(金善斗) 김순배(金順培)

김승은(金勝恩) 김용근(金容根)

김태술(金泰述) 김화식(金化湜)

노선경(盧善敬) 노원찬(盧元贊)

박석훈(朴錫薰) 박재헌(朴在憲)

방승현(方承鉉) 오능조(吳能祚)

유기준(劉基俊) 이수현(李守鉉)

임찬규(林燦奎) 조익준(趙翊俊)

주기원(周基元) 주요섭(朱耀燮)

최경학(崔敬學) 최병무(崔秉武)

최진(崔鎭) 한승곤(韓承坤)

한창선(韓昌善) 황보영주(皇甫永周)

황세청(黃世淸) 황찬영(黃贊永)

김양선(金良善)

곽권응(郭權膺)

김만진(金萬鎭)

김병두(金炳斗)

김창화(金昌華)

김형두(金炯斗)

오한길(吳漢吉)

이영휘(李英徽)

한준겸(韓俊謙)

1

2

20

14

34

1

8

끝.